문제
상근이는 자전거를 타고 등교한다. 자전거 길은 오르막길, 내리막길,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근이는 개강 첫 날 자전거를 타고 가면서 일정 거리마다 높이를 측정했다. 상근이는 가장 큰 오르막길의 크기를 구하려고 한다.
측정한 높이는 길이가 N인 수열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오르막길은 적어도 2개의 수로 이루어진 높이가 증가하는 부분 수열이다. 오르막길의 크기는 부분 수열의 첫 번째 숫자와 마지막 숫자의 차이이다.
예를 들어, 높이가 다음과 같은 길이 있다고 하자. 12 3 5 7 10 6 1 11. 이 길에는 2 개의 오르막길이 있다. 밑 줄로 표시된 부분 수열이 오르막길이다. 첫 번째 오르막길의 크기는 7이고, 두 번째 오르막길의 크기는 10이다. 높이가 12와 6인 곳은 오르막길에 속하지 않는다.
가장 큰 오르막길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측정한 높이의 수이자 수열의 크기인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양의 정수 Pi(1 ≤ Pi ≤ 1000)가 주어진다. 각 숫자는 상근이가 측정한 높이이다.
출력
첫째 줄에 가장 큰 오르막길의 크기를 출력한다. 만약 오르막길이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1 2 1 4 6
예제 출력 1 복사
5
예제 입력 2 복사
8
12 20 1 3 4 4 11 1
예제 출력 2 복사
8
예제의 경우 오르막길은 총 3개가 있다. (12-20, 1-3-4, 4-11) 오르막길에 포함된 숫자는 항상 증가해야 한다. 따라서, 1-3-4-4-11은 오르막길이 아니다.
예제 입력 3 복사
6
10 8 8 6 4 3
예제 출력 3 복사
0
알고리즘 분류
import sys
input()
alis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ans = 0
cmin=alist[0]
cmax=0
prev=alist[0]
for i in range(1, len(alist)):
if alist[i]>prev:
cmax = max(cmax, alist[i])
ans = max(ans, cmax-cmin)
else:
cmin = alist[i]
cmax = 0
prev=alist[i]
print(ans)
'알고리즘 문제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 마리오 #2851 (0) | 2023.01.04 |
---|---|
유레카 이론 #10448 (0) | 2023.01.04 |
누울 자리를 찾아라 #1652 (0) | 2023.01.04 |
약수들의 합 #9506 (0) | 2023.01.04 |
Yangjojang of The Year #11557 (0) | 202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