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두개가 왜 나뉠까?
예를 들어
고객TABLE에 (고객일련번호, 고객이름) / 주문TABLE에 (고객일련번호, 주문제품)이 있을때,
고객이름와 주문제품정보만을 가져오고 싶으면,
DAO에서 각각 테이블의 데이터를 뽑아서
Entity에 고객Entity(고객일련번호, 고객이름), 주문Entity(고객일련번호, 주문제품)를 넣은 후 서비스쪽으로 넘겨서
get방식으로 고객Entity의 (고객이름)이랑, 주문Entity의 (주문제품)만 가져와서 고객주문제품DTO(고객이름, 주문제품)에 넣으면 될까?
아니면 처음부터 DAO에서 고객이름, 주문제품만을 가져와서 고객주문제품Entity(고객이름,주문제품)을 넣고, 서비스에서는 그냥 고객주문제품DTO(고객이름, 주문제품)에 바로 넣으면 될까?
어떤 필드는 서비스에서 계산되어서 뷰에 보여줘야하기 때문에 Entity랑 DTO가 일치하진 않다
그래서 Entity는 테이블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고 DTO는 더 많은 필드를 가질 수 있다.
'한줄 궁금증 > 해결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QA. 자바와 파이썬을 같이 쓸 수 있을까? (0) | 2022.11.19 |
---|---|
QA. @Webservlet의 name (0) | 2022.11.16 |
QA. SpringApplication.run? (0) | 2022.11.01 |
QA. 프로젝트내에 DAO 추상클래스 (0) | 2022.10.31 |
QA. DTO란? (0) | 2022.10.31 |